[CEO풍향계] '통 큰 약속' 정의선…'공산당이 싫어요' 정용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화제의 기업 최고 경영자들 소식을 입체적으로 전해드리는 'CEO풍향계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은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과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의 이야기를 김종력, 한지이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로 더 얼어붙은 고용시장. 지금 이 기업인의 통 큰 약속으로 훈풍 기대감이 커졌습니다.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입니다.<br /><br />최근 김부겸 국무총리와 만난 정 회장. 향후 3년 동안 4만 6,000명의 신규 채용을 약속했습니다.<br /><br />현대차그룹은 로봇과 미래항공, 수소와 자율주행 같은 미래 신사업 분야에 신규 인력을 대폭 늘린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는 자동차 제조 기업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탈바꿈하려는 정 회장의 비전도 담겨 있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새로운 도전과 도약을 위해 젊은 인재들의 창의성이 꼭 필요하다는 게 정 회장의 생각입니다.<br /><br />일자리 창출은 기업의 가장 큰 사회적 책임 중 하나죠. 앞서 '굿잡 5060' 프로그램을 통해 50대와 60대 재취업에도 힘써 온 정 회장, 청년 일자리 창출도 기대하겠습니다.<br /><br />재계에서 SNS 활동에 가장 적극적인 총수라면 단연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꼽히죠.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가 무려 70만명이 넘는데요.<br /><br />'공산당이 싫다'는 연이어 글에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 부회장은 최근 붉은색 모자를 쓴 남성 2명과 찍은 사진에 '난 공산당이 싫어요'라는 해시태그를 달았습니다.<br /><br />그러자 중국인 고객들의 불매 운동 가능성을 우려하는 소리가 나왔지만 정 부회장은 '난 콩이 상당히 싫다'며 소신을 굽히지 않았고 1970년대 국민교육헌장까지 인용하기도 했죠.<br /><br />이후에도 공산당을 우회적으로 언급한 것으로 보이는 '콩'이라는 단어를 수차례 올리며 논란은 확대됐습니다.<br /><br />그간 정 부회장의 SNS 활동은 성공적이란 평가가 많습니다. 빵집 '제이릴라'는 마케팅 효과를 쏠쏠히 봤고 '용진이형'이라는 친근한 별명도 얻었죠.<br /><br />그런데 이번 '공산당' 아니 '콩 논란'은 어떤 효과를 기대한 걸까요. 정 부회장의 의중이 궁금합니다.<br /><br />이번에는 신한금융지주 조용병 회장 만나보시죠. 신입사원 채용 비리 관련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 받았습니다.<br /><br />조 회장은 신한은행장으로 재직하던 2015과 2016년, 3명의 지원자 합격 과정에 부당하게 관여한 혐의로 2018년 기소됐습니다.<br /><br />1심에서는 일부 유죄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았는데, 항소심에서 무죄로 뒤집은 겁니다.<br /><br />조 회장은 이번 판결로 사법리스크에서 벗어나 흔들리던 리더십을 바로 세울 수 있게 됐습니다. 나아가 3연임도 가능해졌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금고 이상의 형을 확정받을 경우에는 신한금융 내부 규범에 따라 경영진 자격이 5년간 배제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조 회장은 항소심 판결 뒤 "더 투명한 경영 절차를 확립하도록 노력하겠다"고 말했는데요.<br /><br />금융기관은 신뢰가 생명입니다. 검찰의 대법원 상고 여부가 변수로 남아있지만 이제 법원발 기사에서 보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.<br /><br />안팎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네이버가 파격적 인사를 단행했습니다. 1981년생 최수연 글로벌사업지원 책임 리더를 새 대표로 내정한 겁니다.<br /><br />최 신임 대표는 2005년 네이버에 신입사원으로 입사해 4년간 일했습니다. 이후 로스쿨을 나와 변호사로 활동하다 2019년 재합류해 글로벌 사업 지원을 총괄해 왔는데요.<br /><br />네이버는 최 신임대표가 업무 능력이 뛰어나고 유쾌한 성격이라,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조직 문화 쇄신의 적임자라고 설명합니다.<br /><br />반면 직장 내 괴롭힘 문제, 플랫폼 규제 등 안팎으로 홍역을 치른 네이버가 위기 관리에 방점을 두고 과거 김상헌 전 대표에 이어 두 번째 법조인 출신 CEO를 선임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MZ세대 젊은 여성 리더를 택한 네이버의 결정은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. 최 내정자는 내년 3월 차기 대표이사로 정식 선임됩니다.<br /><br />국제 유가가 고공행진을 계속하면서 원유 생산국과 주요 소비국간의 대립구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, 우리 산업계도 유심히 지켜봐야 할 거 같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CEO풍향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